사업개요
사업명
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산학협력 특성화 혁신센터 사업
총사업기간
2007. 6. 1 ~ 2012. 2. 29 (57개월)
참여기관
(주)팬택, 노원구청, 서울테크노파크
사업성과
교육 프로그램
계약형 학과 확대 및 수요자 중심의 교육과정으로 개편
- - 계약형 학과 10개로 확대 (매년 100여명)
- - 3개 특성화 학과 - 특정산업분야 캡스톤디자인 운영(매년 200여명)
- - NITU Microsystems Packaging 분야 1년간 교육 (매년 40명)
NIT 융합대학원 설치 및 융합 교과과정 개발
- - NID융합대학원 설치 (Nano+IT 학과, IT+Design 학과, 방송통신학과)
- - 국제융합학부 2011년 신설 (MSDE, ITM, GTM 3개 프로그램 운영)
테크노프레너십 프로그램 참여학생 매년 10% 확대
- - 테크노프레너십 5년 과정 개설 (54명 입학)
- - GTM프로그램이 흡수 (2011년
NITU 프로그램의 참여대학 및 학생수 확대
- - 전국 17개 대학과 MOU 체결
- - 매년 NITU 학생 선발 및 졸업생 배출 (약40명)
교육방법
다학제간 Capstone Design의 17개 학과 참여 유도
- - 다학제간 또는 산학협력과제에 매년 6~13개 학과 참여 및 지원
- - Rose-Hulman 공대와 5개 공동과제 수행 (2년)
- - 국제 캡스톤디자인 경진대회 2회 개최
15개 프로그램 공학인증 획득 및 정착
- - 12개 프로그램 공인원 인증 획득 - 건축학 인증 획득(5년)
- - 학생포트폴리오 경진대회 5회 개최
- - 공학설계 경진대회 2회 개최
학생 feed-back 방안 개발 및 1교수 1조교 지원시스템 구축
- - 숙제, 시험, 프로젝트 등 feed-back 철저 운영 관리 방안 도입 (영국 Northumbria 대학 모델)
- - 6개 학과 행정효율화 (1교수-1조교 지원)
학부생 연구 참여를 위한 교육과정 개발, 재정지원
- - 학부생 연구참여 지원시스템 (월 30~40만원)
- - 졸업연구논문으로 캡스톤디자인 대체
평가 및 행정지원
교과목 포트폴리오 평가 및 교수 지도법 개선
- - 매년 12개 학과의 포트폴리오 상호 점검
- - PBL수업 매년 10개 이상 실시
- - 교수법 및 학생학업증진 세미나 매년2회 실시
교수 업적 평가제 개선
- - 공학인증제도 참여도 평가의 정량지표 개발
- - 교수업적평가항목에 산학협력 추가
학과/특성화 평가 정량화 지표 개선
선진대학 벤치마킹을 통한 QC/QA 자료 개발
- - Northumbria 대학의 QC/QA 자료 벤치마킹
- - feed-back용 답안지 개발
- - 국제융합학부 operation manual / Program spec. 개발
공간 및 실험실 효율화
- - 유사 실험실 통폐합으로 공간의 효율화
- - 학생 및 교수의 통합실험실 만족도 설문조사
- - Learning Factory 구축
산학협력
7개의 외국 산학협력 우수대학과의 연계 프로그램 강화
- - 외국 산학협력 우수 8개 대학 벤치마킹
- - MTU, RHIT, MU 대학과 MOU 체결
- - RHIT와 Summer MEMS Program 운영(2010년, 2011년)
공학인증 자문 및 기술교류 주관하는 산학협의회 활성화
- - 산학협력 회사 재정비(STPN)
- - 학과별 산학협의회 정기 미팅 개최
- - 공학인증 졸업생 성과 설문조사 정기 실시
멤버십화에 의한 산학협력 질적 개선
- - 산학협력단 및 학과의 산학협력회사 재정비
- - 명예 학장 및 학과장제도 시행
- - 참여정도에 따라 Gold, Silver, Bronze 마크
서울테크노파크와의 교육/훈련/취업 연계 프로그램 개발 및 시행
- - 산업체 홍보용 교수 Profile 책자와 서울TP 입주기업 소개 책자 발행
- - 1사+1실험실 연계 작업 시행